근래에 본 세편의 프랑스 영화들은 일련의 다양한 상념들을 일으키게 했다. 먼저 더글라스 케네디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빅 픽처'는 상당히 실망스런 작품이었다. '리플리' 같은 작품을 기대했었는데, 그냥 평범한 범작이 되어 버렸다. 특히 초반부의 주인공 내면의 상황 묘사들이 되게 피상적인데, 아마도 그런 여피족 삶을 살고 있던 주인공이었으니까, 그렇겠지만, 그 큰 사건 전후로 벌어지는 묘사 들은 한결같이 심도깊지 못하고, 벌어진 일의 압축 언급 같은 느낌이었다. 그래서 그 큰 변화에 선 주인공의 내면의 양상이 큰 공감이나, 스릴러적 긴장을 유발하지 않게 되었다. 그나마 후반부로 갈수록, 주인공의 또다른 삶. 그러니까 진정한 삶이긴 하나, 진정일 수 없는 딜레마에 갇힌 사진작가의 삶을 공감어리게 보여준다. 차라리 처음 소설을 읽을때 연상했던 배우, 브래들리 쿠퍼 주연으로 헐리웃에서 만들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감독은 구스 반 산트나 알렉산더 페인, 샘 멘데스 중에서.. 


 원작을 읽지 않았으면 또 어떤 감흥이었을까가 궁금해지지만 소설의 기억이 남아있는 나로써는 수박 겉 핥기에 지나지 않는 영화였다. 그런 면에서 영화 '리플리'는 얼마나 대단한가..배우들의 탁월한 매력과, 정체의 탄로를 앞둔 그 긴장감은..



 왕년에 천재 감독으로 추앙받던 레오 까락스 감독이 아주 오랬만에 돌아왔다. 4번째 작품 폴라X 를 종로3가 단성사 극장에서 본 기억이 있다. 리뉴얼 하기 전이라 스크린이 작고, 관객석이 길쭉한 그 관은 홍상수 감독의 첫 작품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을 이상한 영화적 체험을 하며 보던 기억이 있다. 영화와 현실의 이상한 조우의 느낌이라 할까. 현실의 삶처럼 영화도 계속 이어질거 같은..  난생 처음으로 영화를 보고 난, 이상한 체험이었다. 좋은 영화 작품은 그런 생경한 체험을 작던 크던 던지는 것일 게다. 레오 까락스는 첫 작품 '소년 소녀를 만나다''나쁜피''퐁네프의 연인들'로 이어지며 대단한 영화적 감각을 일깨워줬다. 그러다 (마지막 이었던) 네번째 작품 폴라X 이후로 잊혀진 감독이었다. 예전의 단성사 극장이었으니, 정말 오래된 잊혀진 기억들을 헤집고 근래에 다시 레오 까락스란 이름을 접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감독의 페르소나인 드니 라방이란 배우도 함께.


 사실 이 영화에 대한 느낌을 어떻게 말할지 감감하다. 대단히 파격적이고, 충격적이며, 아름답고, 추하며, 어디로 튈지 모르는 위트와 광기. 그런걸 느꼈으나 감독이 말하려는 의도나 의미를 읽기에 상당히 어렵게 느껴졌다. 영화는 구체적 현실을 보여주지만, 이 영화는 모호한 추상의 지점을 느끼게 해준다. 영화란 매체에 대한 감독의 헌사 같은 작품이다. 영화의 제목도.. 모션 픽쳐에 대한 성스러운 다면성을 현실과 영화, 실제와 가상의 삶, 가상속의 가상에 대해서 어지럽게 관통한다. 재미있다기 보다 흥미로웠는데, 영화 매체에 대한 감독의 탐구가 대단한 걸작 같다가도 다른면에선 작의적 허세 같기도 하고 복잡다단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만드는 영화였다. 고로. 진짜 예술 영화임에는 틀림없다. 다시 본다면.. 글쎄.. 난 미국산 예술영화인 데이빗 린치 감독이 떠올랐다. 



 일본에 젊은 거장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있다면 프랑스에는 프랑수아 오종이 있다. 그들의 모든 작품들은 섭렵해도 될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프랑수아 오종은 '스위밍 풀''5X2''타임 투 리브''시트콤'등등의 작품으로 이름을 인지하게 되었다. 자연스레 감독의 이름을 기억하게 될 정도로 그만의 색깔이 있었다. 문학적인 면이 영화의 저변에 깔려있다고 느꼈다. 이 작품 또한 글쓰기를 소재로 하고 있다. 한 가정의 인물들을 관찰하고 글쓰기를 통해서 상상과 허구의 나래를 펼치는 지점이 영화속의 글쓰기. 이 영화적 허구..상상..관음적 관찰의 욕망등..다양한 상념을 불러온다. 이런 것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상당히 재미있다. 어려운 주제를 쉽게 이야기속에 풀어 내는 능력이 전작들에 비해 범접할수 없는 경지에 오른듯 하다. 프랑스 영화는 어렵고 지루하다는 오랜 편견을 오종 감독은 특유의 감각으로 타파한다. 글쓰기와 닿아있는 이야기로써의 영화에 대한 엿봄을 통한 상상적 허구에 대한 욕망을 위트 있게 그려 낸다. 사실 가장 재밌는 부분에서 갑자기   졸음인지 모를 순간 의식이 끊겨서 다시 한번 봐야 할 것이나, 영화의 매 순간들이 흥미롭게 몰입될 수 있었다. 그런데 왜..정신이 깜박했을까나.. 현대 미술 작품에 대해서도 많이 나와 여러가지 모로 예술. 창작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다시 이 영화를 보고 곰곰히 음미해 봐야겠다. 글쓰기에 대한 소재의 영화였던 구스 반 산트의 '파인딩 포레스터'에 비교하면 이 영화는 참으로 발칙하다고 할 수 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스 Jobs (2013) : 나의 애플 이야기  (0) 2013.09.01
그해 여름 (2006)  (0) 2013.08.31
감시자들 (2013)  (0) 2013.08.25
더 그레이, The Grey (2012)  (0) 2013.08.11
더 테러 라이브 (2013)  (0) 2013.08.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