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첫째날의 일요일. 오후 3시에서 4시사이 고요한 무더위는 주택가를 엄습하고 있었다. 점심을 배부르게 먹고 소화를 시키느라고. 머리로 올라가는 피는 굼떠지고 피부의 호홉은 대기의 습기에 지쳐간다. 시간이 멈춘듯. 계속 이어질듯한 이 일요일 오후의 무료함. 이 평온이 감사하기도 하지만. 내심. 멍하게 보내는 시간이 무서워 정적을 깨고 컴퓨터를 킨다. 가벼운 영화를 한 편 보려고 폴더를 뒤적이다가 너바나의 92년 레딩 페스티발의 공연 영상을 튼다. 커트 코베인의 열창. 너바나의 가장 화려했던, 성공의 정점에서의 꽤 괜찮은 공연 이었지 않나 싶다. 일요일 오후의 정적과 무료함을 깨우는 커트 코베인의 절규에 가까운 외침.은 이 인물에 대한 애정을 다시 뒤돌아 보게 한다. 

 
 해는 지글거리고. 커트의 윙윙대는 기타와 몸부림은 내 삶의 열정에 작은 씨를 뿌린다.
삶은 땅에 맞닿아 있는 거니까, 죽으려 몸부림 쳤던 옆 사진속 커트의 모습은 상징적이다. 발없는 새처럼. 부유하다 가버린..
 열반, 해탈 이라는 밴드명 처럼.. 펑크 로커 로써 그는 자신의 삶에 철저히 저항하다 열반에 들었다. 그렇게 믿고 싶다.

  이 영화는 커트의 음성 다큐멘터리 영화라 할 수 있겠다. 죽기 1년전 여러 차례의 인터뷰들을 그의 삶의 궤적에 따라 조합해서 들려주고, 영상은 다양한 공간들. 그가 자란. 애버딘.올림피아, 시애틀,,등등의 모습과. 학교 공간. 도서관, 기타샵, 등등의..보통 사람들의 편린들, 가끔 애니메이션도 섞여서 보여준다. 영상은 스틸사진을 감상하는듯한 아련함이 서려있다. 


 커트의 나즈막한 육성으로 들려주는 삶은 시적인 영상과 어울려 한 편의 인생 작품이 된다. 그는 록스타 역사상 가장 정점에서 화끈하게 자살한, 그래서 더욱 신비화 되고, 아이콘화 된 전설이 되어버린 인물이었다.

 외계인이었으면 좋겠다는 그의 삶은 항상 우울하고. 화난 상태만은 아니었다. 보통의 인간들 처럼. 웃고, 유머스러운 점도 드러나지만,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과. 그로 인한. 불행. (이집저집 떠돌아 다녔던 삶.노숙) 과. 수시로 찾아오는 극심한 복통으로 인한..마약 복용..중독의 결과가 삶의 질을 나락으로 빠트렸고, 차라리 죽는게 낮다는 말을 자주하게 된다.

 커트 코베인에 관한 책은 그동안 많았다. 그의 삶을 조망하는 평전부터. 일기장을 그대로 스캔한 책 까지. 그의 삶을 들여다볼 기회는 많았지만. 그의 목소리로 듣는 이 영화의 감흥은 조금은 남달랐다. 인터뷰 말미에.. 그의 부인인 커트니 가 애기 젖병좀 가지고 오라는 일상의 대화..가 매우 묘한 울림을 준다. 이 인터뷰 1년후에 커트의 유서 마지막엔 이렇게 쓰여있었다.

 " 모두들 고맙다. 너무 불안정하고 침울한 나 자신에게 열정이란 더 이상 없는지 모르겠다.
기억해주기 바란다. 천천히 사라져 버리기 보다는 한꺼번에 타버리는 것이 낫다는 것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