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의 고향 아이다호 는 내 학창시절의 고향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감수성에 영향을 끼쳤다. 지금은 호아킨 피닉스의 형으로 더 화자되는데 1993년 10월 31일 리버 피닉스의 죽음은 당시에 많은 이들에게 슬픔을 안겼다. 조니 뎁 과 키아누 리브스를 보면 리버 피닉스도 생각난다. 이 셋은 절친이었다고 한다. 셋 다 악기를 연주하고 자신의 밴드를 하는등.. 음악에 대한 열정도 그랬고, 아웃사이더의 삶과 태도는 연기 이상의 진정성을 보여줬다. 그가 살아있었더라면, 영화 '토탈 이클립스'에서 랭보로 분연한 그의 모습을 볼 수 있었을 텐데..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대타로 연기해 그 또한 나쁘지 않았지만..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이 영화는 리버 피닉스의 삶 자체에 대한 은유 같이 돌아갈 곳 없이 길 위에 선 자의 공허를 잘 담고 있다. 그의 삶 자체가 투영된, 그러니까. 영화와 실제 삶이 별반 다르지 않았을거란 반증이 그의 죽음으로 말해진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기면발작증 (순간적인 긴장과 스트레스로 인한 마비와 수면에 빠지는) 때문에 도로에 경직되어 쓰러져, 지나가는 차량이 그의 소지품을 강탈하고, 또 마비된 몸이 차에 태워지는 것이 아니라 물건 처럼 실려 뭔 일을 당할지 모르는 채로 끝나는 장면은 슬프고 의미심장하다. 2년후, 조니 뎁이 운영하는 LA의 바이퍼 룸이라는 가게 앞 길에서 마약 과용으로 인한 쇼크사로 사망하게 되는,, 그렇게 23살의 나이에 촉망받던 배우가 요절함으로써 제임스 딘과 마찬가지로 청춘의 신화 같은 존재로 대중들에겐 울겨먹혔다. 


  그의 가정사는 히피 부모님을 둔 덕에 어릴적 남미를 전전하며 살았고, 미국에 정착하고선, 아역 배우로 활동을 시작하며, 자신이 겪은 삶과 가장 비슷할듯한, 출연작이자 그의 대표작인 '허공에의 질주' 와 '아이다호' 그리고 하나 더 꼽자면 '모스키토 코스트' 에서, 공허와 상실, 정체성의 탐구를 조숙한 눈빛으로 그려내었다. 또래의 배우보다 깊은 눈매와 진지한 자세는 뭔가 촉망받는 차세대 헐리우드 스타보다는 인디록 뮤지션의 삶과 태도와 더 어울려 보였다. 실제로 뮤지션을 더 꿈꾸었고,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멤버들과 친구였다고 한다. 이 영화에서 플리가 조연으로 출연한다. 아마도 그들과 어울리며 마약에 손을 댓을거 같은데, 특히 존 프루시안테 와도 여러모로 통하는 구석이 있지 않았을까..

  이런저런 사족을 더 하자면, 어제 신촌에서 퀴어 페스티발이 열렸단다. 얼마전 우연한 기회로 초면의 21살의 대학생과 공감 공연을 보게 됐고 치맥을 한잔 하며 이야기를 나눴는데, 구스 반 산트 감독을 가장 좋아하고, 여러가지 예술 문화적 소양이 깊어서 나이차에도 불구하고 대화가 통했었다. 자기가 거의 레즈비언에 가까운 양성애자인걸 당당하게 밝히고 퀴어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다. 그 때 내가 지은 표정이 어땠을까? 나 조차도 너무 궁금하다. 이미 그런거에 익숙했던지 상대의 반응에 별 신경을 안 쓰는거 같았고, 되려 당당하게 아무렇지 않게 성 정체성에 대해 이야기 했다. 또래에 비해 남다른 21살 이었고, 그런 솔직한 면들이 부럽기도 했다. 자유롭게 자기 행복을 찾는 모습, 부모의 영향으로 비틀즈를 비롯한 수많은 문화.예술을 일치감치 향유했고, 영화 감독을 꿈꾸며 신호등도 무시한채 당돌하게 걸어가는 그 아이를 보며 진짜 진보적 인간이라고 생각했다. 나이차 많은 여성과 깊은 사랑도 경험해 봤고 그런 것들을 부모도 알고 인정한다고 하니, 내 딴에는 난 조선시대에 살았나 하는 혼란스러움.. 

  포틀랜드 시장의 아들로 거대 유산을 상속받기로 되 있지만 아버지에 대한 철없는 반항으로 거리에서 창부 생활을 하는 스콧 (키아누 리브스) 은 기면발작증으로 어디서나 쓰러져 정신줄 놓아 버리는 마이크 (리버 피닉스)를 도와주며 그가 형을 만나고 엄마를 찾아 나서는 길에 동행한다. 잠에 빠질때 마다 엄마의 영상은 끊임없이 마이크의 마음을 갈구하고, 쓰라린 가정사의 아픔을 묵묵히 간직한채, 거리에서 몸을 판다. 여자를 만나면 긴장으로 기면발작증이 오니 남자를 더 상대하게 된 그는 자상한 스콧에게 고백을 한다. 이 영화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일 뿐 아니라, 어떠한 멜로 영화의 고백 장면도 이만큼 순수하고 진정성 있다고 느껴지질 않는다. 리버 피닉스의 이런 연기는 정말 가슴을 찌른다. 이 영화를 계기로 키아누 리브스와 리버 피닉스는 절친이 됐다고 하는데, 정말 그럴 수 밖에 없을 거 같다. 키아누 리브스가 현재도? 방랑 생활을 하는 것과도 뭔가 이 영화와 닮아 있다. 










  형이라고 여겼던 자가 자기의 생부이고, 엄마는 자기를 버렸고, 근원적 고통은 자기를 옭아매어 점멸하는 신호등 처럼 삶의 순항하는 그린 라이트는 수시로 꺼진다. 옆에 있어줬던 스콧은 엄마를 찾아서 이태리 로마 까지 동행했지만 이내, 인생을 함께할 여자를 만나 마이크를 버리고 떠나버린다. 다시 포틀랜드. 스콧의 아버지가 죽고. 거리생활을 청산한 스콧은 거리에서의 대부를 매몰차게 대하고, 길에 쓰러져 자고 있는 마이크를 외면한다. 공교롭게도 진짜 아버지와 거리의 아버지인 밥의 장례식이 같은 공간에 치뤄지고, 극명히 다른 상황이 연출된다. 


  다시 길 위에선 마이크. 길의 감식가라 자처하는 그의 독백. 점멸하는 의식으로 그의 몸은 또 어디로 가게 될지. 그의 마음은 어디로 향하게 될지. 마이크는 또다시 길 위에 쓰러진다. 




  

  처음 봤을때보다, 나이 들어서 보니 더 울림이 컸다. 사진작가 필립 로카 디 코르시아의 남자 창부를 찍은 작업이. 이 영화의 영감인지. 아니면 구스 반 산트 감독이 그 작업에서 영감을 받았는지..모종의 관계가 있어 보인다. 몇몇 장면에선 연출적 센스가 탁월하다. 게이 잡지 커버에서 그들이 말하는 장면이나 성애 장면을 정지 동작으로 표현한것, 소리로 흥분하는 변태 아저씨의 몽타지 시퀀스 등.. 1991년도 작품 치곤, 내용이나 형식 면에서 앞서 간 것 같다. 단순한 내러티브를 쫏기 보단 그 인물들의 감정에 빠져 보면 이 영화의 진면목을 알아 볼 수 있다. 길위의 고독한 여정에 이런 영화들은 위로가 된다. 내 마음속의 저런 풍경이 꺼내졌기 때문에 더 애틋하게 보았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론 서바이버 (2013)  (0) 2014.08.21
비긴 어게인 (2014)  (0) 2014.08.15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2012)  (2) 2014.06.06
요즘 본 한국영화 단평  (0) 2014.06.04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2005)  (0) 2014.06.04

+ Recent posts